의료기기 KGMP 심사 부적합 사례

Facebook
Twitter
LinkedIn

의료기기 KGMP 심사에서 의료기기법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적합으로 결론이 나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부적합으로 판단되는 주요 경우입니다.

※ 정당한 사유 없이 심사를 거부하거나, 심사 진행이 어려운 경우

→ 협의된 심사일자에 출장갔으나, 제조소 심사 거부 또는 문닫음
→ 통역자의 자질 부족 및 심사포기 등으로 심사가 진행되지 못함

※ 품질경영시스템의 문서를 수립하지 않은 경우

→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별표 2] 제2호 나목에 명시된 사항에 대한 절차와 방법 등 대부분의 세부내용을 문서화하지 않음

※ 품질경영시스템 문서의 내용을 지키지 않은 경우

→ 계측기 관리절차서에 따라 교정주기를 1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일부 장비의 교정을 실시하지 않고 자발적인 개선 조치가 이루지지 않음

※ 문서 등 허위 작성(데이터 조작 등)

의료기기 KGMP 심사 부적합 사항에 대해 시정조치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어려움이 있다면 BCG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More to explorer

의료기기 행정처분 및 GMP 만료 시 수출업무 가능 범위

의료기기 제조·수입 정지 처분을 받으면 해당 제조·수입 업무는 불가하며, 국내 판매는 가능하고 수출도 가능합니다. 판매정지 처분 시 제조·수입은 가능하나 국내 판매는 불가하며, 수출 가능 여부는

[GMP 알림] S/W 제조소 주소지 일치사항 관련

식약처에서는 주소지가 동일한 적합인정서가 2개 존재하는 경우, 품목군에 따라 정기심사 시기가 각각 달라 업체 편의를 위해 하나의 적합인정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효기간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