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허가

Facebook
Twitter
LinkedIn
업무소개
  • 「의료기기법」 제6조, 제15조 및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제4조, 제5조, 제30조에 따라 의료기기 제조・수입 허가 업무의 담당 부서인 첨단제품허가담당관에서 2020년 8월 31일부터 해당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주요업무
    • 3등급・4등급 의료기기 허가(변경허가)
    • 1등급・2등급 의료기기 중 허가대상인 경우 허가(변경허가)
    • 제조(수입) 허가증 재교부
    • 제조(수입) 허가증 영문증명서 발급
허가대상 품목
  • 「의료기기법」 제6조 및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제4조에 따른 제조・수입 품목별 허가대상 의료기기는 3등급・4등급 의료기기로 한다. 다만, 1등급・2등급 의료기기 중 이미 허가 또는 인증을 받거나 신고한 의료기기와 구조・원리・성능・사용목적・사용방법 등이 본질적으로 동등하지 아니한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허가 대상으로 한다.
  • 아울러, 1등급・2등급 의료기기 중 허가대상 품목은「의료기기 위탁 인증・신고의 대상 및 범위 등에 관한 지침」및「의료기기 기술문서심사기관 지정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습니다.
    • 1.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과 조합되거나 복합 구성된 의료기기
    • 2.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 3.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중 상시 착용하는 호흡감시기
    • 4.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체에 생물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일착용하드콘택트렌즈,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 5. 의료기기 허가・신의료기술 통합운영 대상 의료기기
    • 6. 본질적으로 동등하지 않거나 임상시험자료 제출이 필요한 의료기기
    • 7. 소분류가 고시되지 아니한 의료기기

허가업무 절차

https://udiportal.mfds.go.kr/msismext/emd/bif/prmProcssView.do

More to explorer

의료기기 행정처분 및 GMP 만료 시 수출업무 가능 범위

의료기기 제조·수입 정지 처분을 받으면 해당 제조·수입 업무는 불가하며, 국내 판매는 가능하고 수출도 가능합니다. 판매정지 처분 시 제조·수입은 가능하나 국내 판매는 불가하며, 수출 가능 여부는

[GMP 알림] S/W 제조소 주소지 일치사항 관련

식약처에서는 주소지가 동일한 적합인정서가 2개 존재하는 경우, 품목군에 따라 정기심사 시기가 각각 달라 업체 편의를 위해 하나의 적합인정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효기간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